본문 바로가기

WorkReport(개발일지)

웹 접근성 레이어 팝업에 대하여

레이어 팝업.. 웹 표준 & 웹 접근성 어떻게 해?

오늘은 고객사로부터 홈페이지 운영 방안 중 웹 표준 & 웹접근성에 대한 문의가 들어왔다.

고객은 웹 표준 & 웹 접근성에 대해 무지한 고객이다.

내용은 아래와 같다.

 

Q . 메인 페이지 진입 시 레이어 팝업 개제되는 부분에 웹접근성에 위배가되는지?

A. 최신 버전 두개의 지침서 바탕으로는 위배되며,

구현 가능한 방법에는 사용자가 예측할 수 있도록 현 운영방식에서 버튼을 클릭시 발생하는 레이어 팝업 제공과

공지사항 업로드 등 다른 수단을 통해 공지하는 방향 등 검토가 필요

1.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서 최종 버전 :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1

-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서 2.1 기준으로는 레이어팝업 사용에 대하여 지양적입니다.

관련 내용은 아래 참고

 

(4) 레이어 팝업 : 레이어 팝업은 콘텐츠의 논리적 초점 이동 및 콘텐츠의 선형 구조를 위반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.

(5) 새 창/팝업 창/레이어 팝업의 닫음 : 새 창/팝업 창/레이어 팝업에 초점이 있을 경 우 새 창/팝업 창/레이어 팝업을 닫거나 종료 버튼을 클릭하였을 경우, 해당 창 또 는 팝업 등이 종료되어야 한다. 사용자가 화면에 나타난 새 창/팝업 창/레이어 팝 업을 닫거나 종료하도록 요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창 또는 팝업 등이 종료되 지 않으면 사용자는 매우 당황하게 된다. 특히 레이어 팝업의 경우에 이러한 혼란 이 가중될 수 있다.

2.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0 에서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은 실행되지 않아야 한다고 말한다.

- 컨트롤이나 사용자 입력은 초점을 받았을 때에 의도하지 않는 기능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지 않도록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.

입력한 후 기능이 실행되어야 하며, 사용자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.

특히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새 창, 팝업 창 등을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.

- 사용자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새 창 또는 팝업 창이 열리고 이를 통해 정보나 기능을 전달하면 안 된다.

레이어 팝업이 시각적으로는 맨 앞이지만 키보드로 접근하는 경우 맨 뒤인 경우가 있기 때문에,

사용자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레이어 팝업 창으로 정보나 기능을 전달해서는 안 된다.

LIST